본문 바로가기
농업. 부동산. 재테크

병해충의 식별과 방제

by 센스쟁이 고고링 2024. 8. 1.
반응형

1. 병해충으로 인해 병이 발생하는 데는 환경조건, 병원, 기주식물 이렇게 3가지 요소가 작용한다.. 따라서 이 3가지 요소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병이 발생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방제방법을 알아보겠다.

 

2. 방제방법

  가. 환경의 위생: 최우선으로 포장의 위생을 관리해야 한다. 병원체의 월동처가 있다면 제거해주고 병원균의 중간기주도 제거해 준다.

 

  나. 물리적 방법

     1) 소각: 병원균이 많고 해충이 월동하면서 많은 숨어 있는 곳이 낙엽이나 마른 잡초이다. 이런 경우 소각을 통해 방제할 수 있다.

     2) 차단: 과실에 봉지를 씌워 해충의 유입을 막는 방법이다.

     3) 포살: 직접 해충을 잡는 방법이다. 손이나 망을 이용한다.

     4) 채란: 해충의 알을 직접 채취하여 없애는 방법이다.

     5) 유살: 유인하여 없애는 방법이다. 나방류는 포충기를 이용하여 야간에 유인하는데 이화명나방, 독나방, 솔나방 등을 없앨 수 있다.

     6) 온탕처리: 종자를 온탕처리하는 것으로 맥류깜부기병, 고구마 검은 무늬병, 벼 선충 심고 병 등을 예방할 수 있다.

     7) 건열처리: 바이러스 등 종자전염 병해충 방제에 널리 사용된다.

     8) 밭토양담수: 토양을 장시간 담수하는 방법으로 시설하우스에서 사용된다. 

 

다. 경종적 방제법

    1) 생육기에 따른 파종시기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2) 건실한 종묘 및 저항성 있는 품종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3) 질소를 과다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규산질비료를 적절히 사용한다.

     4) 윤작을 실시한다.

     5) 답전윤환을 실시한다.

     6) 접목을 실시한다. 내병성이 강한 품종과 접목을 통해 방제를 한다.

     7) 피복작물을 재배한다.

          * 피복작물이란?

            피복 작물은 농업 생태계에서 지속 가능한 농업과 관련된 여러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단일 재배(한 가지 유형의 작   물이 함께 자라는) 또는 다중 재배(여러 작물 유형이 함께 자라는)로 재배되는 일 년생, 격년 또는 다년생 식물이다. 피복 작물은 토양 비옥도, 토양의 질, 물, 잡초(작물 생산 가능성을 제한하는 원치 않는 식물), 해충(작물 생산 가능성을 제한하는 원치 않는 동물, 일반적으로 곤충), 병, 다양성 및 야생 동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구다(Lu et al. 2000)

 

다. 생물학적 방제법(천적 이용하는 방법)

    1) 천적의 종류  

      - 해충에 기생하여 해충을 병들게 하는 곤충을 말함

         고치벌, 꼬마벌, 맵시벌, 침 파리(나비목 해충) 등

      - 포식성 천적으로 잡아먹는 곤충을 말함

         무당벌레, 잔디혹파리, 꽃등에, 풀잠자리

    2) 해충과 천적

      - 진딧물

       진딧물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전형적인 벌레로, 대롱처럼 생긴 입으로 식물의 줄기나 잎에 구멍을 내어 즙을 빨아먹는다. 성충과 약충이 어린싹이나 잎 뒷면에서 무리를 지어 즙액을 빨아먹어 잎이 쪼그라들거나 기형이 되고 식물의 성장이 멈추는 직접적인 피해를 주기도 하나 진딧물이 농작물에 주는 피해는 직접적인 것보다 오히려 간접적인 피해가 더 크다. 식물의 외피층을 뚫은 입틀을 통해 식물 바이러스를 매개함으로써 식물병을 유발시킨다. 감자, 딸기, 겨자과 채소 같은 원예작물들과 과수, 가로수 등에 해를 주는 바이러스병은 진딧물이 매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진딧물의 천적으로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에, 진디혹파리 등이 있다.

 

  - 응애

  응애는 진드기아강에 속하는 진드기를 제외한 모든 절지동물의 총칭이다. 진드기를 "큰진드기"라고 부르는 대신에 응애는 작은진드기 또는 좀진드기라고 부른다. 몸길이가 1~2mm인 거미강의 동물이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농업해충의 종류가 많다.

  반복되는 농약살포로 인한 약제저항성을 갖춘 응애의 출현이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응애의 방제에 천적인 진드기류를 이용하는 생물적 방제나 농약과 진드기류를 병용하는 종합적 방제가 연구되고 있다. 

  응애의 천적으로는 꼬마남생이무당벌레 등이 있다.

 

-총채벌레

체벌레는 꽃이 필 무렵부터 꽃 내부나 어린 과일의 꽃받침 부위를 주로 가해한다. 주로 어린잎이나 생장점 부위를 흡즙하여 잎은 뒤틀리거나 구부러진다. 어릴 때 피해를 입은 과실은 표면이 코르크화 되고 기형이 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진다. 2차적 피해로 일명 칼라병이라 불리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TSWV)를 매개하여 수량 감소 및 생육을 위축시켜 피해를 많이 준다.

 총채벌레의 천적으로 오리이리응애, 애꽃노린재가 있다.

 

 -나방류

벼의 큰 해충인 이화명나방을 비롯하여 명나방(조·옥수수 등), 밤나방(대부분의 채소), 각종 잎말이나방, 멸강나방, 하늘나방(벚나무·복숭아나무·사과나무·배나무 등), 매미나방·텐트나방(대부분의 수목) 등 많은 종류의 농림 및 원예의 해충이 있으며, 가로수·정원수를 해쳐서 화제가 된 미국흰불나방도 있다. 또, 고치 속에 떨어진 유충의 독모(毒毛)를 몸에 붙이고 날아와 인체에 알레르기와 각막염, 피부병을 일으키는 매미나방과 그 유충, 몸에 나 있는 털의 독침으로 사람을 쏘는 쐐기나방의 유충은 직접적인 위생해충이다. 그 밖에 소나무를 해치는 솔나방과 그 유충인 송충이, 옷감의 해충인 옷좀나방, 저장한 곡식을 먹는 화랑곡나방 등이 있다. 겨울에 나무둘레에 볏짚을 두른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나무를 해치는 나방 애벌레가 겨울을 나기 위해 볏짚에 모이기 때문이다. 
  나방은 천적이 많은데, 기생벌 중에는 유충의 몸 위나 몸속에 알을 낳아 이 벌의 유충이 나방 유충의 체액을 빨아먹는 경우가 있다. 실제 내셔널 지오그래피에서 불나방 애벌레의 몸에 기생파리가 알을 낳아서 기생당하자, 불나방 애벌레가 통증을 덜어주는 식물을 먹는 모습을 보도했다. 또 거미, 소쩍새, 개구리, 두꺼비, 밀잠자리, 박쥐, 솔부엉이, 사마귀, 파리매 등이 성충 나방을 잡아먹는다.

  나방은 성충과 유충 모두 천적을 갖고 있다. 애벌레의 천적으로는 구멍벌과의 나나니벌, 감탕벌, 호리병벌, 쌍살벌, 맵시벌 등의 사냥벌이나 기생벌, 기생파리나 박각시고치벌, 좀벌 등이 있다. 나나니벌과 감탕벌은 애벌레를 마취시켜서 땅을 파거나 진흙을 이겨서 만든 집에 넣은 뒤 알을 낳으며, 알에서 깨어난 벌의 애벌레는 마취가 되어 아직 살아 있는 나방애벌레의 체액을 먹고 자란다. 말벌과에 속하는 호리병벌도 나방애벌레를 마취시켜서 호리병 모양의 진흙집에 넣은 뒤 알을 낳는데, 부화한 애벌레는 나방애벌레의 체액을 먹으면서 자라다가 번데기를 거쳐서 어른벌레가 된다. 기생파리와 박각시고치벌은 나방애벌레의 몸에 알을 낳는 기생곤충들로서,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숙주의 몸을 먹고 자란다.  박각시고치벌의 애벌레는 숙주인 박각시나방의 애벌레에 기생하여 자라다가 고치를 만들어 어른벌레가 된다. 쌍살벌은 나방이나 나비애벌레를 짓이겨서 애벌레의 먹이로 사용한다. 성충의 천적으로는 곤충을 먹는 소쩍새, 거미, 박쥐, 솔부엉이, 사마귀, 파리매, 개구리 등이 있다.

라. 화학적 방제

  농약을 살포항여 병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이다.

  살균제, 살충제, 유인제, 기피제, 화학불임제 등을 사용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