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 부동산. 재테크

종자식별(파종준비-정지, 경윤, 심경, 이랑만들기, 쇄토)

by 센스쟁이 고고링 2024. 7. 31.
반응형

파종준비 - 정지(경운, 심경, 이랑 만들기, 쇄토)

○ 정지  

   정지란 곡식을 심기 전에 곡식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땅을 갈아 흙을 부드럽게 하는 일을 말한다.

    정지 작업은 일련의 순서로 진행되는데 그 순서에는 경운, 쇄토, 이랑 만들기, 진압 등이 있다. 모두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간단히 하는 경우도 있다. 간단히 하는 경우를 간이정지라고 한다.

○ 경운

   - 경운이란 토양을 갈아엎어 흙덩이를 반전시키고 대충 부수는 작업이다. 이는 파종이나 이식에 앞서 작물의 생육에 알맞은 상태로 토양을 조성하기 위해 하는 행위이며 각종 기계적 작업으로 토양에 가하는 행위를 말하며 경운, 이랑 만들기, 쇄도 및 진압이 이에 포함된다.

  - 부정지파란 답리작으로 유채나 맥류를 재배할 때 경운을 실시하지 않거나 전면 다듬지 않고 파종과 복토를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 경운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

   1) 토양의 투수성과 통기성을 좋게 하여 파종 및 관리작업이 용이해지며 종자 발달과 유근 신장에 효과적이다.  토양의 통기가 좋아지므로 호기성 토양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져서 유기물의 분해가 촉진된다. 

   2) 경운에 의하여 호광성 잡초가 지하로 매몰되어 잡초발생이 억제된다.

  3) 땅속에 있던 유충이나 번데기가 땅 위로 노출되어 얼어 죽게 하는 효과가 있다.

 

 - 경운의 시기는 다음과 같다.

  경운의 시기는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작물의 재배시기에 따라 보통 봄, 여름, 가을로 나눌 수 있다. 이를 각각 춘경, 하경, 추경이라고 한다.

  - 추경: 경운 후 작부까지의 기간이 춘경보다 길다. 유기물의 분해와 토양의 풍화가 촉진되어 월동 중 찬바람에 의해 잡초와 해충에 대한 방제효과가 증대됨과 동시에 쇄토, 이랑 만들기, 진압 등 작업이 간편해지는 등 일반적으로 춘경보다 추경이 유리한 점이 있다

.

○ 심경:  경운의 깊이

  1) 경운의 깊이는 대부분 작물에 있어서 생육 조장 및 수량 증대를 위해 20cm 이상의 심경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작물의 종류, 토성, 토양구조, 토양의 비옥, 기상조건, 시비량과 재배법에 따라 결정한다. 

  2) 심경은 심경다비원칙에 의해 준수되어야 한다.

   * 심경다비원칙이란?

  논토양의 경심이 얕은 논에서는 비절이나 추락현상이 일어나기 쉽고 도복, 한발, 냉해 등의 저항성이 약한 것 등 안전다수확이 어렵기 때문에 이 같은 논을 깊게 갈아 경심을 깊게 해 주면 벼뿌림의 활동범위가 커지나, 심토는 양분이 적은 척박토양이므로 심경 하나만으로는 그 효과를 반드시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심경 할 때에는 반드시 비료를 다비조건으로 하여야만 벼의 생육이 양호하고 증수효과가 기대되는데 이 같이 깊게 갈면서 동시에 시비량도 증가하여 재배하는 것을 심경다비재배라 칭하며, 전국 다수확 기록에 도전하는 증산왕들이나 다수확재배 독농가들은 필수적으로 심경다비재배를 실시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심경다비재배 [深耕多肥栽培, cultivating with deep plow and heavy fertilizer]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이랑 만들기

  - 이랑이란 작물이 심어진 부분과 없는 부분이 규칙적으로 반복될 때 반복되는 1 단위를 이랑이라고 한다. 이랑이 기복이 있을 때는 솟아오른 부분을 이랑이라 하고 꺼진 부분을 고랑(골)이라고 한다.

 - 이랑을 만드는 이유는 이랑을 만들면 지온을 높이고 배수 및 통기를 좋게 할 수 있으며 파종 및 제초, 솎음 등 관리에 용이하며 작토층을 두텁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작토층이란

     작토는 경토(耕土)라고도 부르며, 계속 경운 되는 층위로서 작물의 뿌리는 주로 작토층(作土層)에 발달한다. 부식이 많고, 흙이 검으며, 입단의 형성도 좋다. 미경지(未耕地)에는 경지의 작토와 같은 부식이 풍부한 층위가 표면에만 얕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을 흔히 표토(表土, top soil)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논토양의 작토층은 보통 12cm 정도이나 트랙터로 경운 하면 25~30cm까지도 가능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작토 [作土, surface]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 작휴법의 종류에는 평휴법, 휴립법, 성휴법이 있다.

  1) 평휴법은 건조해 및 습해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고 채소, 밭벼에 활용한다. 이는 이랑을 평평하게 하여 고랑과 이랑의 높이를 같게 하는 방법이다.

  2) 휴립법은 휴립휴파법과 휴립구파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방식은 이랑을 세워서 고랑이 낮게 되는 방식이다.

 휴립휴파법은 이랑을 세우고 이랑에 파종하는 방식이다. 고구마는 이랑을 높게, 콩은 이랑을 비교적 낮게 세운다. 이랑에 재배하면 토양통기와 배수가 좋아진다. 휴립구파법은 이랑을 세우고 낮은 골에 파종하는 방식으로 맥류의 한해 및 동해를 방지하고 감자의 경우 발아를 촉진하고 배토를 하기 위해 실시한다. 

  3) 성휴법은 이랑을 보통보다 넓고 크게 만들어 맥후작 콩의 재배에 이용한다. 이는 생육 초기 건조해, 장마철 습해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넓은 이랑는 1.2m, 깊은 고랑은 30cm정도이다.

○쇄토

  -쇄토란 갈아서 일으킨 흙을 곱게 부수어 지면을 고르는 작업을 만한다. 토양의 알맞은 입단 크기는 대략 1~5mm 이다.  추경하고 다음 봄에 재경하면 쇄토가 쉬워진다.

- 쇄토의 효과는 토양을 팽연시켜 공기량과 함수량을 증대하여 뿌리가 자라기 좋게  하고 잡초의 잘라내고 뿌리의 제거하며, 비료의 혼합과 흡착을 좋게 하여 질소이탈과 흙의 유실을 방지하며 비료성분 유효이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반응형